AI로 그림을 만들 수 있는 시대입니다. 클릭 몇 번이면 멋진 일러스트, 풍경화, 심지어 상업용 제품 이미지도 쉽게 완성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AI로 만든 그림, 저작권 문제는 없을까?”

누군가는 블로그 썸네일로 쓰고, 누군가는 스마트스토어에서 굿즈로 팔기도 합니다.
그런데 법적으로 문제가 생기면? 난감하겠조? 이 글에서는 AI 그림 저작권 개념부터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상업화 시 유의점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AI 그림, 저작권이 존재할까?
AI 그림은 사람이 직접 붓을 들고 그린 것이 아니라, 컴퓨터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이건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겠지?“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 일반적으로, AI가 자동 생성한 이미지에는 ‘AI 그림 저작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미국 저작권청(USCO)은 “인간의 창작성이 없는 AI 생성물은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다”고 명시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AI 그림을 만드는 데 사용된 데이터셋(학습 데이터)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일부 AI 이미지 생성기는 기존 작가들의 그림 스타일을 그대로 반영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AI 이미지 저작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 특정 유명 작가의 그림 스타일이 학습에 사용되었다면, 해당 작가의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음.
요즘 핫한 지브리 스타일, 신카이마코토 스타일, 픽사 스타일, 심슨 스타일, 디즈니 스타일, 유명 화가 스타일 등이 바로 AI 그림 저작권에 해당됩니다.
AI 이미지 생성 툴의 이용 약관 확인이 핵심
AI로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해서 모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각 생성 툴마다 이용약관이 다르고, 상업적 이용 여부도 다릅니다.
AI 툴을 사용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가?”, “사용자에게 이미지 권한이 귀속되는가?”입니다. 사용자가 만든 이미지라 하더라도, 도구 자체가 라이선스를 제한하고 있다면 상업적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Midjourney나 DALL-E와 같은 생성기는 유료 사용자에게만 AI 그림 상업적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ChatGPT 이미지도 상업적 목적이라면 라이선스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은 주요 도구별 저작권 요약입니다.
툴 이름 | 상업적 이용 | 이미지 소유권 | 저작권 주의사항 |
---|---|---|---|
ChatGPT+DALLE3 | 가능 | 사용자 소유 |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상표 주의 |
Midjourney | 유료만 가능 | 사용자 소유 | 무료 사용 시 라이선스 없음 |
Canva AI | 가능 | 제한적 소유권 | 일부 템플릿은 별도 라이선스 필요 |
Bing Image Creator | 가능 | Microsoft 공동 소유 | 비상업적 사용 권장 |
Leonardo AI | 유료만 상업 가능 | 사용자 소유 | 유명 캐릭터/브랜드 포함 주의 |
AI 그림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그림이 AI로 생성되었다고 해도 그 안에 있는 요소들이 AI 그림 저작권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명 브랜드 로고나 유명인의 얼굴, 게임 캐릭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면 법적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AI 이미지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다음과 같은 점검이 필수입니다.

체크리스트:
- 상업적 이용 허용된 플랫폼에서 이미지 생성
- 유명인/브랜드/상표 이미지 미포함 확인
- 이미지 메타데이터 검토
- “AI 생성 이미지” 명시 (특히 유튜브/블로그)
- 가능하면 CC0 이미지도 활용 병행 (CC0는 저작권이 완전히 없는 공용 이미지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상업적 활용에 특히 안전합니다. AI 이미지와 함께 사용할 경우 저작권 걱정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보완책입니다.)
AI 그림을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AI로 만든 이미지를 단순히 감상용이 아닌 굿즈, 블로그, 쇼핑몰 등 수익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상업용 라이선스를 명확히 보유한 도구 사용 (Midjourney 유료 플랜, ChatGPT Pro 등)
- 스타일이 명확한 유명 작가/게임 캐릭터/브랜드 디자인은 피하기
- 자체 편집/리터칭을 통해 2차 창작성 확보
- 상표권 문제 없는 문구, 배경, 인물 사용
이렇게 준비하면, 나중에 법적인 문제를 예방하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AI 그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일러스트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마켓도 등장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되겠조?
법적으로 안전한 활용을 위한 팁
조금 더 확실하게, 문제없는 AI 그림을 만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팁을 기억하세요. 이 팁들은 실제로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디자이너나 마케터들이 자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이미지 생성 시 “no brand, no logo, no celebrity” 명령어 사용
- 상업적으로 검증된 프롬프트 활용
- 2차 창작으로 등록을 시도해 저작권 보호 고려
- 라이선스별 검색 필터 가능한 이미지 사이트 활용
특히 AI 생성 이미지 법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 항목들을 습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I 그림 활용 예시: 이렇게 하면 안전합니다
아래는 실제로 AI 그림을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한 표입니다. 초보자도 참고해서 실수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 하였습니다.

활용 분야 | 안전한 예시 | 주의할 점 |
---|---|---|
블로그 썸네일 | 자연 풍경 AI 이미지 | 유명 인물 얼굴 피하기 |
스마트스토어 상품 | 추상적 패턴 이미지 | 브랜드 유사 디자인 피하기 |
인스타 콘텐츠 | 배경화면용 일러스트 | 캐릭터 저작권 주의 |
굿즈 제작 | Midjourney 유료 이미지 리터칭 | 라이선스 여부 반드시 명시 |
최근에는 AI 그림 굿즈 제작을 위한 전용 플랫폼도 생겨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할 때도 AI 그림 저작권 관련 문구나 출처 표시를 함께 기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핵심은 ‘툴의 라이선스’ + ‘콘텐츠의 구성 요소’
AI 그림을 제대로 활용하고 싶다면,
- 툴의 라이선스를 꼼꼼히 확인하고
- 이미지 안에 포함된 요소가 저작권 침해 소지가 없는지 검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림은 창작의 자유를 넓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다만, 그 자유는 책임 있는 사용에서 시작됩니다. 상업적인 목적이 있다면 더욱 꼼꼼하게 AI 그림 저작권을 고려해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